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국립국어원 ⑥ 모두의 말뭉치 말뭉치는 수업뿐만 아니라 논문 및 리포트 작성에도 도움이 된다.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두의 말뭉치'에서는 매우 다양한 말뭉치를 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말뭉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하다. 메인 화면의 우측 상단을 살펴보면 '들어가기'와 '회원 가입'이 보인다. 여기에서 '들어가기'란 흔히들 사용하는 '로그인'의 '다듬은 말'이다. 여담으로, '로그아웃'은 '나가기'이다. 이와 같은 다듬은 말은 우리말 다듬기(클릭하면 들어갈 수 있다)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모두의 말뭉치' 회원 가입이 끝나면 '들어가기'를 하고, 그 후에 필요한 말뭉치를 신청할 수 있다. 모두의 말뭉치에서 제공하는 말뭉치 모음은 다음과 같다. corpus.korean.go.kr/main.do#down 모두.. 2021. 4. 25.
국립국어원 ⑤ 지역어 종합 정보 전국의 지역어를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가 시범 운영되고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지역어, 다시 말하자면 '지역 사투리'를 '문학', '음성', '사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역어 종합 정보 사이트에서는 검색을 통해 지역어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도를 통해 표준어를 지역마다 어떻게 부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자료의 '저작권'에 대해 언급하며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저작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dialect.korean.go.kr/dialect/ 지역어 종합 정보 dialect.korean.go.kr 같이 보면 좋은 글 국립국어원 ① 메인 화면 국립국어원 ② 사전 국립국어원 .. 2021. 4. 24.
국립국어원 ④ 어문 규범 혹시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까? 나는 고등학생 때에도, 대학에 들어가 전공 공부를 할 때에도 이 '대원칙'에 대해 가끔 공부를 했다. 그래서 나에게 '표준어'란 '서울말'이 아니라 '이상적인 언어'라는 인식이 굳게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표준어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항상 하고 있다.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은 한글 맞춤법 제1장 제1항에 나타난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표준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위와 같은 어문 규정을 국립국어원의 '어문 규범'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문 규범 카테고리에는 다시 '어문 규정', '항별 연혁', '용례 찾기', '자료실'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어문 규정 .. 2021. 4. 24.